전체 글195 [RxJS - 2] Observable의 파라미터 import { interval, take } from 'rxjs'; const interval$ = interval(1000); // 관례적으로 Observable 객체는 $를 접미로 붙인다. interval$.subscribe(val => console.log("Observable", val)); /* Observable 1 Observable 2 Observable 3 Observable 4 ... */ 이전 글의 위와 같은 상황에서, subscribe의 3가지 파라미터를 알아보자. interval$.subscribe(val => console.log("Observable", val), err => console.log(err) () => console.log("finished!") ); 첫 번째는.. 2023. 9. 26. [RxJS - 1] Observable이란? Observable은 데이터를 스트림으로써 관찰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한다. import { interval, take } from 'rxjs'; const interval$ = interval(1000); // 관례적으로 Observable 객체는 $를 접미로 붙인다. interval$.subscribe(val => console.log("Observable", val)); /* Observable 1 Observable 2 Observable 3 Observable 4 ... */ Observable은 그 자체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 Observable은 영어 뜻 그대로 "관찰할 수 있는" 객체이다. 위 코드에서 보듯, Observable이라는 객체를 만들고 subscribe 메소드를 통해 Obse.. 2023. 9. 25. [Stable Diffusion] 스테이블 디퓨젼 후기 Stable Diffusion은 왜 Stable Diffusion인가? Diffusion의 이전 모델은 아예 처음부터 이미지를 생성했었다면, Diffusion 모델은 이미지의 벡터값은 그대로 가져가고 노이즈를 추가한 상태에서 그 흐린 이미지를 점차적으로 원본 이미지로 복원한다. 이미지의 픽셀 값이 높은 농도에서 낮은 농도로 이동한다하여 Diffusion이라 하는 것이다. (디퓨져를 생각해보자!) Stable Diffusion은 '안정적인 Diffusion'이란 뜻에서 Stable Diffusion이라고 이름 지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말할 수 없지만, 회사에서 AI TF를 진행하게 되어서 Stable Diffusion을 해보고 있는데 상당히 흥미롭고 재미있다. 평소에 관심 있게 보고 있었기에 Stable .. 2023. 9. 6. [Node] NPM 라이브러리 4개를 개발하며 최근에 NPM 라이브러리를 4개 만들었고, 계속 개발하고 있다. 어렸을 적, 피아노를 좋아했는데 어느 날 죽기전에 이 세상에 나의 작품을 하나 남겨야하지 않겠나라는 생각을 들었다. 그래서 음악을 3곡 정도 작곡을 했었고, 네이버 블로그에 올리기 위해 작곡프로그램까지 배워 midi 파일을 만들고 가상악기를 씌워 음원으로까지 만들었다. 맨 처음엔 단순히 한 번 만든 코드를 나중에 다시 활용하기 위해, 팀원과 공유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그 라이브러리가 File Dispatcher이다. 그런데 만들다보니 구현하려는 기능이 단순 Node의 기본 기능만으로는 불가능했다. 그래서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여기서부터 라이브러리를 만드는 과정에 희열을 느끼게 되었다. 이 때 찾은 방법은 네이티브 애드온이.. 2023. 8. 14. .git pre-commit 훅에서 커밋 메시지 가져오기 #!/bin/bash commit_message_file=".git/COMMIT_EDITMSG" commit_message=$(cat "$commit_message_file") 이를 응용하면 커밋 메시지를 강제(?)로 꾸며줄 수도 있다. 2023. 7. 27. 이전 1 ··· 17 18 19 20 21 22 23 ··· 39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