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A6 [MSA] 마이크로서비스 처음 사용 시 활성화 기술 마이크로서비스를 처음 사용할 때는 새로운 기술을 많이 채택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역효과를 낳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에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확장하면서 점차 분산되는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찾고 도움이 될 만한 기술을 찾아야한다. 마이크로서비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면, 도움이 될 몇 가지 활성화 기술을 알아보자. 1. 로그 집계와 분산 추적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를 채택하기 위한 전제 조건으로 로그 집계 시스템을 구현할 것을 강력히 추천한다. 로그 집계 시스템을 사용하면 모든 서비스에서 로그를 수집하거나 집계하고 한 곳에서 분석할 수 있으며, 능동적인 경보 메커니즘 일부도 만들 수 있다. 이 분야의 많은 방법은 다양한 상황에 활용될 수 있다. 일단은 클라우드 제공업체에서 제.. 2025. 4. 3. [MSA] 마이크로서비스의 핵심 개념 1. 독립적 배포성독립적 배포성은 다른 마이크로서비스를 배포하지 않고도 마이크로서비스를 변경하고, 배포하고, 사용자에게 릴리스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뿐 아니라 실제로 시스템에서 배포를 관리하는 방법이 더욱 중요하며, 기본 릴리스 방식으로 채택하는 원칙이다. 독립적 배포를 위해서는 마이크로서비스를 느슨하게 결합시켜야 한다. 즉, 다른 서비스를 변경하지 않고도 한 서비스를 변경할 수 있어야한다. 이는 서비스 간에 분명하고, 잘 정의되며, 안정적인 계약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몇몇 구현 방법은 이런 노력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 공유는 문제가 된다)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갖고 느슨하게 결합된 서비스를 위해서 마이크로서비스 경계를 찾는 방법을.. 2025. 4. 3. [MSA] 마이크로서비스의 정보 은닉(feat. SOA) 마이크로서비스는 정보 은닉이라는 개념을 수용한다. 정보 은닉은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구성 요소에 감추고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최소한의 정보만 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변경하기 쉬운 것과 변경하기 어려운 것을 명확히 구분하게 해준다. 외부 대상에게 감춰진 구현은 마이크로서비스가 노출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하위 호환성을 깨뜨리는 방식으로 바뀌지 않는 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마이크로서비스 경계 내부의 변경은 업스트림 소비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독립적인 기능 릴리스가 가능하다. 이는 마이크로서비스가 독립적으로 동작하고 필요에 따라 릴리스되는 데 필수적이다. 내부 구현이 변경되더라도 명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경계가 변경되지 않는다면, 시스템의 결합은 느슨해지고 응집력이 강해진다. .. 2025. 4. 3. 마이크로서비스 핵심 개념 6가지 독립적 배포 하나의 마이크로 서비스만 단독으로 배포 가능해야함. 도메인을 중심의 모델링 한 마이크로서비스, 한 기능(즉, 결합도를 최대한 낮춰야함) 고유한 상태를 가짐 마이크로서비스 간 DB를 고유하지 않음. 데이터를 공유하지 않음 크기가 적당해야함 마이크로서비스는 조직이 다룰 수 있는 개수 이상을 넘어가지 말아야함(복잡도를 키우지 말아야한다는 뜻인듯) 마이크로서비스 간의 경계를 명확하게 정의 유연함 판을 키우지 말고 점진적으로 마이크로서비스로 넘어가는 것을 권장 마이크로서비스는 옵션이기 때문에 맹목적으로 매몰될 필요는 없다라고 해석됨 전 회사에서도 MSA로 가기로 결정 후 장바구니 관련 서비스를 따로 마이크로서비스로 뺐었음 아키텍쳐와 조직을 맞추기 조직 구조를 아키텍쳐에 맞게, 도메인에 맞게 편성 프론.. 2023. 5. 13. 레거시 코드를 대하는 자세 원래 서비스와 완전히 분리가 일단 불가능한 상태에서 한 feature가 MSA로 나가는 상황. feature에서 데이터가 create되면 그 함수에서 event를 만들어 카프카로 보내게 만들었다. 그리고 그 카프카 이벤트를 MSA의 feature가 컨슘하게 되고 데이터는 MSA의 DB로 저장되게 된다. create 발생, event 생성 -> Kafka -> MSA -> DB 일단 이 방식으로 잘 동작하는 건 확인했고, 이제 모든 CRUD 에서 이 로직이 동작하게끔 해야하는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레거시 코드가 너무 거대했다. update 함수가 수십개에 달하고 그 update 로직들이들이 어디있는지 모두 찾기가 어려웠다. 업데이트 로직이 컨트롤러에도 있고, 뭔가 알 수 없는 서비스에서도 업데이트가 일.. 2022. 1. 27.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