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9 [k8s] yaml 정의 파일 빠르게 템플릿 생성 --dry-run=client: 명령어 테스트용, 실제 자원 생성 안 함.-o yaml: 자원 정의를 YAML 형식으로 출력. 예시) - Podkubectl run nginx --image=nginx --dry-run=client -o yaml 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creationTimestamp: null labels: run: nginx name: nginxspec: containers: - image: nginx name: nginx resources: {} dnsPolicy: ClusterFirst restartPolicy: Alwaysstatus: {} - Deploymentkubectl create deployment --i.. 2024. 7. 31. [k8s] kubectl, minikube 세팅 할 때마다 찾아보게 되서 작성 (맥북 arm 기준) (homebrew는 있다고 가정) 1. kubectl 설치brew install kubectl 2. 설치 확인kubectl version --client 3. mikube 설치brew install minikube 4. mikube 도커로 띄우기minikube start --driver=docker 공홈에서 나온 방식보다 이게 훨씬 편하다. kubectl 명령어를 k만 쳐도 쓸 수 있게 해주는 alias 설정 한방 커맨드 (zsh 기준)더보기echo "alias k='kubectl' \nsource > ~/.zshrc && source ~/.zshrc 2024. 7. 18. [k8s] pod practice pod-definition.yml 정의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myapp-pod labels: app: myappspec: containers: - name: nginx-container image: nginx pod 띄우기 2024. 7. 18. [k8s] 쿠버네티스를 위한 yaml 유효성 검사 세팅 PrerequsiteVSCODE Settings1. YAML extension 설치 2. 톱니바퀴 - Extension Settings - Edit in settings.json"yaml.schemas"에 "kubernetes": "*.yaml" 세팅 이 경우 모든 .yaml 파일에 kubernetes 유효성 검사를 하기 때문에 kubernetes 파일을 위한 추가 패턴 도입을 고려해볼 수 있음 위와 같이 세팅하면, 아래처럼 자동완성을 지원하고 유효성 검사도 동작한다. 2024. 6. 11. [k8s] hostPath와 emptyDir의 차이점 hostPath: Node 단위의 데이터 공유hostPath는 Kubernetes 노드의 파일 시스템에 있는 특정 경로를 Pod에 마운트하는 볼륨 타입이다.노드 의존적: hostPath 볼륨은 Pod이 실행되는 특정 노드의 파일 시스템 경로에 접근한다. 따라서 다른 노드에서는 동일한 경로에 접근할 수 없다.데이터 지속성: Pod이 재시작되거나 다시 스케줄링되어도 동일한 노드에서 실행된다면 데이터는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다른 노드로 스케줄링될 경우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다.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name: hostpath-examplespec: containers: - name: test-container image: busybox volumeMoun.. 2024. 6. 10.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