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erraform3

[AWS] ARM64 vs x86 AWS 서비스를 띄울 때 ARM64와 x86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그럼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결론부터 말하자면,대체로 ARM64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AWS의 벤치마크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ARM 기반 아키텍쳐가 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다.x86 대비 ARM의 performance가 120% 우수했으며, cost는 x86대비 70%에 불과했다. 그리고 가성비 측면에서도 x86 대비 150% 나은 결과가 나왔다.  특히 파이썬에서 두드러지는 성능 향상을 볼 수 있다.그러나 ARM이 100%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사양에서 CPU 집약적인 작업에서는 ARM이 x86대비 60% 이상의 월등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지만, Memory 사용량이 많고 가벼운 작업에서는 성능이 소폭.. 2024. 4. 20.
[Terraform] ECS circuit breaker 설정 resource "aws_ecs_service" "xxx_service" { ... deployment_circuit_breaker { enable = true rollback = true } ...} 위와 같이 설정하였으나, 자꾸 그런 설정은 없다고 IDE(Webstorm)에서 경고해서 아무리 찾아도 이 옵션이 맞길래, deploy를 해보았더니  잘되었다.IDE가 이상해 ...   두려워말라. 2024. 4. 2.
결국 Terraform으로 정착 AWS CDK를 사용하다가 CDK 의존성(CloudFormation의 스택 등)에 곤혹스러운 일이 많이 발생했다.예를 들면, 분명 스택 삭제를 진행했는데도 제거한 보이지 않는 람다가 존재한다고 안되는 일이 있다거나... 그래서 TypeScript로 IaC가 가능한 Pulumi를 사용하려고 했지만 이건 그냥 자료가 없다. 🥹 예제가 매우 부족한 Pulumi의 공식문서는 아쉽다. 결론은 Terraform으로 하기로 했다. CDK와 다르게 람다를 zip 하는 스크립트를 추가 작성해야하지만, 한 번만 해두면 매우 빠르게 빌드가 가능. 2024. 3.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