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19 REST API 참고 링크 구글에 이런 문서가 있는 지 몰랐는데 한 번 슥 읽어보기 좋다. 구글 API 가이드 문서 https://cloud.google.com/apis/design?hl=ko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6845772/should-i-use-singular-or-plural-name-convention-for-rest-resources Should I use Singular or Plural name convention for REST resources? Some RESTful services use different resource URIs for update/get/delete and Create. Such as Create - using /resources with POS.. 2024. 4. 5. [Terraform] ECS circuit breaker 설정 resource "aws_ecs_service" "xxx_service" { ... deployment_circuit_breaker { enable = true rollback = true } ...} 위와 같이 설정하였으나, 자꾸 그런 설정은 없다고 IDE(Webstorm)에서 경고해서 아무리 찾아도 이 옵션이 맞길래, deploy를 해보았더니 잘되었다.IDE가 이상해 ... 두려워말라. 2024. 4. 2. SOLID 원칙 4분만에 알아보는 좋은 영상 https://youtu.be/wGWrOpRdu40?si=0rWSHiAlDCgfCgQ9 (2배속으로 보면 4분) 좋아서 또 보려고 블로그에 저장 2024. 3. 28. [암호학] SHA-256은 안전하지 않다. 비트코인 채굴은 SHA-256 hash를 깨는 과정이다. SHA-256 hash를 깨면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얻게 된다.비트코인 채굴 초창기에는 난이도가 낮아 일반적인 그래픽 카드로도 충분히 채굴이 가능했다.그러나 점점 비트코인 채굴 난이도가 올라가고 일반적인 그래픽 카드로는 채산성이 나오지 않게 되었고, 비트코인 채굴 특화 용도의 주문제작 반도체(ASIC, FPGA)주문제작 반도체를 이용해야 채산성이 나오게 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주문제작 반도체를 이용하면 일반적인 그래픽 카드보다 10만배 이상의 속도로 비트코인 채굴이 가능했고, 이는 곧 SHA-256의 보안 취약화를 불러왔다. 아무튼 요점은 하드웨어의 발전으로 노가다로 SHA-256을 파훼하기 쉬워졌단 것이다. --- 윗 내용과는 살짝 다른 이야기.. 2024. 2. 14. 오른쪽 Command 키로 한영 변환하기 오른쪽 Command 키로 한영 변환하기 요즘 들어 Caps Lock을 강하게 누르지 않으면 한영 변환이 잘 안되어 설정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면 윈도우하고도 동일한 동작을 가져갈 수 있으니 편하다. 터미널에 순서대로 입력 1. hidutil property --set '{"UserKeyMapping":[{"HIDKeyboardModifierMappingSrc": 0x7000000E7,"HIDKeyboardModifierMappingDst": 0x70000006D}]}' 2. cd ~/Library/LaunchAgents/ 3. vi com.local.setting.key.remapping.plist 4. 아래의 .xml 파일을 붙여넣고 ESC -> :wq 입력으로 vi editor 종료 Label co.. 2023. 12. 3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