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M: 기존의 많이 쓰이던 운영 방식
- 하나의 패키지에 Module이 여러개 담겨있고 이는 하나의 언어로 개발되어짐.
- 그래서 VM 하나에 Module A, B, C가 있을 때, Module A와 B의 사용량은 그대로이나 Module C의 필요성이 급증하여 서버를 늘려야한다면 VM을 하나 더 생성해서 하나의 패키지를 다 올리게 되어 불필요한 Module A, B까지 올라가게 되므로 불필요한 자원의 사용이 예상됨.
- Container: MSA에 최적화
- 서비스를 만들 때 각각의 모듈 별로 나누어 개별의 Container에 담는걸 권장.
- 하나의 패키지가 아니므로 모듈 별로 최적화된 언어나 라이브러리 적용 가능.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은 한 Pod에 여러개의 모듈을 담을 수도 있고, 하나의 모듈만 담을 수도 있음. Pod이란 하나의 배포 단위. 따라서 위의 문제점에서 확장이 필요한 Module C가 담긴 Pod만 확장하여 불필요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음.
- 가장 많이 쓰이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 쿠버네티스.
728x90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8s] 쿠버네티스를 위한 yaml 유효성 검사 세팅 (0) | 2024.06.11 |
---|---|
[k8s] hostPath와 emptyDir의 차이점 (0) | 2024.06.10 |
[k8s] 마스터, 워커 (0) | 2023.04.12 |
Kubernetes Overview (0) | 2023.04.07 |
namespace, cgroups (0) | 2023.04.05 |
댓글